728x90
반응형

티타임 26

만달로리안 '알지 못하면 말하지 않는다' - 중국 관련 뉴스에 대한 생각

매주 수요일이 돌아오면 해야 할 일이 한 가지 있다. '만달로리안'을 시청하는 것! 벌써 시즌3-4화까지 나와서 아쉽다. 몰랐던 사실 하나! 구글 크롬에서 만달로리안으로 검색하면 귀염둥이 '그로구'가 등장한다. 그로구를 클릭하면 창을 뜯어낸다. 스크롤을 내리면서 클릭하면 나도 모르게 입꼬리가 올라간다. 이 글에서 만달로리안을 이야기하려는 것은 아니고, 만달로리안 '알지 못하면 말하지 않는다' 계율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그로구를 소환했다. 최근 미디어 매체에서 '중국의 경제'에 관한 뉴스가 많아지고 있다. 전문가(교수, 박사 등)의 발언을 통한 뉴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 중국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뉴스 2. 중국 투자(차이나 런)에서 다른 지역(동남아, 중동 등)으로 투자 이동에 대한 사례 3..

티타임 2023.03.31

양곡관리법은 포퓰리즘 정책인가?

필자는 아침 전체 뉴스를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유독 눈에 들어오는 기사가 있어 이것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4826522?date=20230330 "양곡법, 농업 파탄"…대통령 거부권 쓴다한덕수 국무총리가 29일 “시장 원리를 거스르는 포퓰리즘 정책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며 초과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 매입하도록 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재의 요구권) 행사를n.news.naver.com 법과 농업에 관한 전문가가 아니어서 좀 조심스럽지만, 일반 국민이며, 사회 과학자 관점에서 양곡관리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총리님이 '시장 원리를 거스르는 포퓰리즘 정책'이란 말씀에 동의할 수 없다. 양곡관리법에..

티타임 2023.03.30

[기후변화]지구온난화! 누가 진짜 범인일까?

최근 탄소중립과 관련된 해외정책과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지만, 보면 볼수록 마음 한 구석에서 올라오는 회의감은 무엇 때문일까? 1990년 IPCC의 1차 보고서에 '인간이 기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로 시작해서 2022년 IPCC의 6차 보고서에는 기후변화의 원인은 인간이 명백하다(99%)라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20년 동안 과학은 기후변화의 원인이 인간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냈다. 정말일까? 그 순간 '패러다임'의 단어를 만들어 낸 '토마스 쿤' 선생님이 생각났다. 토마스 쿤은 1962년 '과학혁명의 구조' 책에서 과학의 발전은 연속적이 아니라 불연속적이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불연속적이라는 의미는 과학의 발전은 연속적인 발견에 의해 추가적으로 발전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과학이론이 설명 못하..

티타임 2023.03.29

K-관광 활성화가 내수 활성화 대책이 될 수 있을까?

거리에 봄을 알리는 꽃들이 피어나기 시작했다. 살랑살랑 부는 바람이 시원하기까지 한 계절이 돌아왔다. 훌쩍 어디든 떠나고 싶은 마음을 부여잡고, 책상 위에 앉은 순간 아래와 같은 뉴스가 내 손가락을 움직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69296?sid=103 휴가비 등 600억 쏘고, 큰손 日·中 맞춤공략…尹정부 관광 대책 정부가 K-관광을 앞세운 내수 활성화 대책을 새로 내놨다. 국내 관광 회복을 위해 3만원 숙박쿠폰, 10만원 휴가비 지원 등 600억 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고, 방한 관광객 1000만 명 이상을 목표로 n.news.naver.com 뉴스 마지막 부분이 눈에 확 들어왔다. 얼마나 내수 활성화를 위해 고민을 하고 내린 정책 결..

티타임 2023.03.29

[지방 소멸] 지역 관광 활성화로 누가 돈을 버는가?

필자는 관광에 대해 전문가는 아니다. 하지만 경제 관점에서 보면 관광산업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과 같은 두개의 질문에 생각해 보자. 1. 한국 관광산업은 경쟁력이 있는가? 2. 인위적인 관광지 조성을 하려는 이유가 무엇인가? 1. 한국 관광산업은 경쟁력이 있는가? 아래의 뉴스가 그 답을 대신할 듯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3178#home [리모델링 급한 한국 관광] 21년 적자 한국 관광리모델링 시급하다 | 중앙일보 올해 8월까지 관광수지 적자는 34억 달러. 여행 성수기인 가을에 접어들며, 황금연휴를 두 차례 낀 10월의 아웃바운드가 워낙 거세 올해 관광수지 적자는 4년 만에 100억 달러대에 이를 수 있다는 www.joongang.c..

티타임 2023.03.28

[지방 소멸] 또 시골 마을의 소멸이 다가오는 걸까?

얼마 전 세계적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https://serendipiter.tistory.com/28 세계의 반도체 전쟁... 한국 반도체 기업의 미래 지금 세계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과 반도체 전쟁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2023년 3월 15일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세계 최대 반도체 클 serendipiter.tistory.com 사실 발표 뉴스를 보면서 블로그에는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또 한 번 부동산 투기가 발생하고, 농촌이 사라지겠구나 우려를 하였다. 오늘 뉴스에 그러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0/0000064544?cds=news_media_pc..

티타임 2023.03.27

[과거의 이해] 산업화된 지역의 발달과 쇠퇴를 이해하자.

과거 세계 자동차 산업의 중심 도시 미국 디트로이트! 1830~1860년 간 인구는 6배가 증가하고, 제너럴 모터스, 포드, 크라이슬러가 세계 자동차 산업을 이끌었던 도시이다. 자동차 산업의 중심 도시인 디트로이트는 왜 쇠퇴를 하게 되었는가? 결론은 미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약화로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자동차 산업의 불황은 디트로이트 기업 활동의 축소와 파산으로 이어지고, 기업은 근로자를 감축하고... 해고된 디트로이트 근로자는 다른 일자리를 찾기 위해 떠나고, 디트로이트에서 경제활동을 하던 상인들 마저 떠나게 되고... 이와 비슷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일어났었다. 강원도 태백시는 광공업으로 발달된 도시였으나, 광공업의 쇠퇴로 지역 소멸 위기까지 몰렸다. 최근 우리나라 울산광역시도 비슷한 과거..

티타임 2023.03.26

[저출산] 왜 우리는 저출산을 선택하였는가?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아래의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왜 우리는 저출산을 선택하였는가? 다른 사람의 이유를 듣기 전에 결혼과 출산을 포기한 필자의 이유를 먼저 말하겠다. 결혼을 하지 않은 이유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사회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사람 간의 갈등이 이유이다. 필자에게도 결혼할 수 있는 상대가 분명 있었다. 학부과정에서 만난 사람, 박사과정에서 만난 사람. 두 번의 연애 모두 길었던 만남이었다. 길었던 연애만큼 잊혀지는 시간도 길었다. 특히 박사과정 중 만난 사람과 헤어지면서 다신 연애를 하지 않기로 결심했었던 것 같다. 그 당시 헤어짐과 동시에 이런 생각을 했었던 기억이 난다. '나의 마지막 사랑이 죽었다' 두 번의 헤어짐이 너무 가슴 아파 새로운 만남을 만들려고 하지 않는다. 따..

티타임 2023.03.23

[저출산] 서른 전, 아이 셋 낳으면 병역면제! 그럼 누가 소를 키우나?

2023년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뉴스에 나왔다. '남성이 서른 전까지 아이 셋을 낳으면 병역면제를 해주겠다' 만일 그렇게 되었다고 하자. 모든 남성이 좋은 와이프와 결혼해 아이 셋을 낳았다. 그럼 군입대는 누가하나? 지금도 군 병력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 다들 아이 셋 낳아 군면제가 되면 누가 소를 키우나? 저출산의 문제는 사회의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어 아주 복잡한 구조이다. 그럼 아이 셋을 낳을 수는 있을까? 셋을 낳는다면 여성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 셋 쌍둥이를 낳는 것이 아니라면 긴 시간이 될 것이다. 여성은 아이 셋을 낳기 위해 자신의 청춘을 버려야 하는가? 그것도 남편의 군면제를 위해서? 지금도 여성의 출산으로 경력단절 및 육아로 문제가 많은 ..

티타임 2023.03.23

[지방 소멸] 지역 관광 활성화가 해결할 수 있을까?

경남 진주의 숨은 명소 중 하나인 진주 매화숲은 2023년 3월 13일 폐쇄되어 더 이상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없게 됐다. 진주 매화숲은 개인 농장으로 15년 이상 개인이 조성한 아름다운 숲이다. 소유주의 유지에 따라 아름다움을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공개하였지만, 방문객의 나무 훼손, 차량의 무단 진입 등으로 매화숲 관리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폐쇄의 원인이다. 진주 매화숲으로 지역 방문객이 늘어 생활인구는 증가하였지만, 정작 소유주는 피해를 입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서울 북촌마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잘 알려진 북촌마을은 소음, 쓰레기 투기, 불법 사진촬영 등의 문제로 주민을 괴롭히고 있다. 아직도 서울 북촌마을은 한복을 빌려 입은 외국인의 촬영..

티타임 2023.03.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