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술혁신의 이해 2

[기술혁신의 이해] 기술추격 패턴을 이해하자

이번에는 기술추격 패턴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모방에서 혁신으로' 고 김인수 교수님께서 집필하신 책으로 이 책은 한국의 기술 추격 모델을 가장 잘 설명하고, 또한 '기술 추격 국가의 모델'을 제시했다. 모방은 혁신의 시작이다.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급속한 산업화는 대부분 모방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는 1960~70년대 단순 모방 전략을 추구하다가 1980년~90년대에 들어와 점차 창의적인 모방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2000년대 이후 중국의 혁신전략도 비슷한 패턴으로 진행되어 왔다. 우리가 짝퉁 또는 짭이라고 이야기하는 모방은 기술추격자에게는 기본 전략인 것이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모방이 가능하고, 모방으로 흡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기술을 추가하는 것이다. 일련의 과정..

[기술혁신의 이해]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이해하자.

이번에는 파괴적 혁신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최근 ChatGPT 등의 AI를 파괴적 혁신으로 소개하는 기사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번 기회에 파괴적 혁신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정확한 기술혁신을 이해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 짧지만 파괴적 혁신의 정의를 주장한 연구자의 책을 통해 파괴적 혁신의 정의가 만들어진 현상과 분석에 대해 살펴본다. 글의 내용은 개인적 견해로 작성되었고, 다른 연구자의 견해와 다를 수 있다. Christensen은 'The Innovator's Dilemma'에서 디스크 드라이브(컴퓨터 하드디스크) 산업에서 선도 기업의 실패에 대한 이유를 규명하고 파괴적 혁신의 정의를 내렸다.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은 기존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이 새로운 ..

728x90
반응형